음악 정보(14)
-
목관악기의 발음원리
금관악기와 목관악기는 서로 다른 발음원리로 음을 만들어냅니다. 관악기에서 목관악기가 차지하는 비중도 높은데 목관악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목관악기가 어떤 원리로 음을 만들어내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목관악기의 발음원리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관악기의 발음원리 악기 재료와 기본음 목관악기에는 플루트, 클라리넷, 오보에, 파곳, 색소폰 등이 있습니다. 나무로 만들어진 악기들이기 때문에 목관악기라고 통칭하게 되었습니다만, 현재에 이르러서는 악기의 재료로 나무뿐만 아니라 금속이나 그 밖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목관악기도 관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관의 길이에 따라 기본음이 결정되는데 클라리넷만은 예외입니다. 클라리넷은 원추관으로 되어 있는 다른 목관악기들과 다..
2024.02.10 -
트롬본에 대하여
관악기에서 트럼펫은 우리에게 친숙하지만, 트롬본은 악기 이름마저도 들어본 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트럼펫과 비슷한 이름이니 입으로 불어서 연주하는 악기일 것이라는 추측 정도가 가능하겠지요. 트롬본은 재미있게도 사람의 목소리와 가장 비슷한 음색을 가진 악기라고 합니다. 그래서 사람 목소리와 잘 어우러지기 때문에 성악곡에서 합주악기로 인기가 많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트롬본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롬본의 구조 트롬본은 벨 앞으로 슬라이드관이 길게 뻗은 관악기입니다. 쉽게 말해 나팔 앞쪽으로 길게 뻗은 막대를 앞 뒤로 움직이며 연주하는 악기지요. 트럼펫은 손에 딱 쥐고 3개의 피스톤을 조절해 가며 연주하는 악기인 것과 무척 큰 차이가 나는 생김새와 구조입니다. 트롬본은 크게 벨, 슬라이드..
2024.02.09 -
트럼펫에 대하여
금관악기의 대표적인 악기로 트럼펫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트럼펫의 구조, 특징, 운지법, 연주법(텅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럼펫의 구조 트럼펫은 밸브방식을 사용하는 금관악기입니다. 트럼펫 중 가장 일반적인 B♭ 트럼펫의 관 길이는 휘어진 관을 모두 폈을 때 135cm 정도 됩니다. 대부분이 원통관이며 크게 열린 벨에 연결되는 약간의 부분만 완만한 원추형 관으로 되어 있습니다. 트럼펫의 특징 클래식에서는 C 트럼펫을 많이 사용하기도 하지만, 파퓰러나 재즈에서는 대부분 B♭ 트럼펫을 사용하므로 B♭ 트럼펫에 대해 주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in B♭'라는 것은 B♭의 음을 그 악기의 C로 조율했다는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 이 악기에서 C의 음을 연주하면 실제로는 B♭의 음을 얻는 것..
2024.02.06 -
브라스(금관악기)에 대하여
이번 포스팅에서는 트럼펫, 트롬본, 호른, 튜바 등의 브라스(금관악기)에 대하여 정의, 피치와 발음으로 나누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브라스의 정의 재즈 등에서 보통 "브라스"라 지칭하는 통칭하는 악기에는 트럼펫, 트롬본 등이 있습니다. 금관악기는 크게 연주자의 입술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방식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발음원리에 대해서 알아보면 금관악기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금관악기는 과거 조상들이 사용하던 뿔피리 등이 발전하여 형성된 악기입니다. 현재는 더 이상 동물의 뿔을 사용하여 만들지 않고 대신 금속을 사용하여 만들기에 금관악기로 통칭되고 있는 것입니다. 금관악기는 현악기의 현이나 목관악기의 리드처럼 발음체라고 할 만한 것이 없으나, 연주자의 입술과 마우스피스가 발음체가..
2024.02.05 -
스트링스 사운드 만드는 법
스트링스 악기의 종류, 스트링스 하모니 등 어프로치 방법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이러한 스트링스를 활용하여 프레이즈에 맞는 음색을 매칭하고 사운드를 실제로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악보상에 최적의 어레인지를 만들어놓고 훌륭한 어프로치를 계획해 놓았다고 하더라도 그에 맞는 음색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간에 들인 공이 헛수고로 돌아갈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트링스 사운드 음색 선택에 대한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프로치에 따른 음색 1. 백그라운드 스트링스에 적합한 음색 신서사이저로 백그라운드 스트링스를 연주할 때 어프로치와 함께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것은 음색의 캐릭터 즉, 음색의 성격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어프로치와 동시에 정하는 게 아니라 처음부터 음색..
2024.02.03 -
스트링스 앙상블
그간 포스팅을 통해 스트링스의 어레인지를 하모니와 프레이즈로 구분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하모니와 프레이즈를 종합한 '앙상블'로서의 스트링스 어레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큰 스케일의 독립성부 스트링스 어레인지에서는 각 파트가 독립된 성부진행을 바탕으로 정리되어 스케일이 매우 큽니다. 이로 인해, 신서사이저나 샘플러를 이용하여 리얼한 스트링스 사운드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단순한 온음표, 2분 음표를 활용한 어레인지로는 풍부한 느낌을 내기가 어렵습니다. 심플한 백그라운드를 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이렇게 단순한 어레인지를 입히는 경우도 있지만 더욱 아름답고 풍부한 사운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어레인지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안소리부와 저음역에 적극적인 ..
2024.02.02 -
스트링스의 프레이즈 어프로치
스트링스에 있어서 프레이즈(라인)는 어레인지를 할 때 가장 큰 포인트가 되는 부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트링스의 보이싱에 관한 것보다는 스트링스의 특징적인 프레이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페달 포인트 페달 포인트는 스트링스 어레인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상징적인 어프로치입니다. 이 프레이즈는 코드는 계속 변화하면서 고음부의 음은 계속 지속되는 방법입니다. 코드 진행에 일정하게 지속되는 음을 추가함으로써 하모니의 흐름을 안정시켜 줄 뿐만 아니라 메인이 되는 코드를 좀 더 다채롭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페달 포인트로 사용되는 음을 '페달 톤'이라고 하는데, 이 페달 톤은 코드진행 조성 상의 으뜸음(토닉) 또는 제5음(도미넌트)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제2음 또는 제3음을 사용하는 ..
2024.02.01 -
백그라운드 스트링스에 대하여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 연주에 적용할 수 있는 스트링스 어레인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백그라운드 스트링스와 효과 곡을 만들 때 어떤 이유로 스트링스를 사용할까요? 그것은 바로 스트링스 사운드가 곡을 더 아름답게 만들어주거나 곡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거나 곡의 질감을 높이는 등의 효과를 주기 때문입니다. 조금 밋밋해 보이는 곡이라도 스트링스를 추가해 주면 매우 우아하고 풍부한 사운드를 가진 곡으로 탈바꿈시킬 수 있습니다. 곡을 더욱 풍부하게 느껴지도록 하는 목적에서 스트링스를 사용할 때 가장 손쉽게 적용해 볼 수 있는 기본적인 어프로치는 온음표, 2분 음표 계열의 코드를 추가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스트링스 사운드로 곡의 백그라운드(배경음)를 만드는 것입니다. 실제 현악기를 연주할 때 온음표, ..
2024.01.31